본문 바로가기
[국내] 경주/경주여행

신라 최대크기의 사찰 황룡사 역사문화관

by 해야diya 2023. 4. 30.

황룡사는 경주시에 있던 사찰로 서기 553년에 창건되었다. 불국사와 함께 신라를 대표하는 사찰이며 지금은 터만 남았기 때문에 문화재청 등에서 부르는 공식 명칭은 황룡사지이다.

이곳은 황룡사를 발굴, 복원하여 전시해 둔 역사문화관이다.

황룡사역사문화관-전경
황룡사 역사문화관

운영시간 및 위치

황룡사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복원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역사문화관이다.

황룡사지 황룡사 역사 문화관

주소 경북 경주시 임해로 64-19 황룡사 역사문화관
11월~03월 09:00 ~ 18:00
04월~10월 09:00 ~ 18:00 (토, 일 만 19:00)

주차장은 조금 떨어진 곳에 넓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주차하기 편하다.

역사관-주차장
주차장
황룡사-AR체험-라운지ar체험-운영중단-24년8월까지
황룡사 AR체험 라운지

주차장 바로 옆에는 황룡사 중문과 남회랑 AR체험 라운지가 있는데 24년 8월까지 운영중단된 상태이다.

증강현실 체험관은 볼거리가 많을 것 같은데 아쉬웠다.

황룡사 역사문화관 주변이다.

역사문화관-입구
황룡사 역사문화관

관람요금

  • 어른 3,000원
  • 군인 및 중, 고등학생 2,000원
  • 어린이 1,500원
  • 30명 이상의 단체 관람객은 관람요금이 할인된다.

소개

1층-9층목탑
황룡사지 9층목탑

황룡사 9층 목탑 모형은 실제크기의 1/10이다. 

신라의 목탑으로 643년 선덕 영왕 때 자장 율사의 건의로 만들었다. 9층은 주변 9개의 나라를 의미라는 것으로 이들의 침입을 부처님의 힘으로 막는다는 것을 뜻한다. 이 목탑은 13세기 몽골 침입으로 불에 타 절터와 탑만 남아 있다.

1층-영상관

1층에는 9층 목탑과 영상관이 있다.

영상관은 09:00 ~ 18:00까지 매 시간 정각에 상영을 시작하며 약 15분이 소요된다.

3D입체 영상관임으로 눈으로 보는 재미가 많을 것이다.

2층-전시실

2층은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계획안-최종안
황룡사 역사문화관

황룡사 9층목탑 계획안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1,2,3안을 걸쳐 최종안이 되었는데 적충구조방식으로 1안과 2안을 비교, 검토한 후 처마 구성은 신라계 석탑의 5단 옥개받침과 동일하게 5 제공 포작을 짜았다고 한다.

전시실-미디어-시청
전시실 내부

전시실 내부에는 글로만 적혀 있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를 통하여 이야기를 들려줘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창건 설화와 역사, 발굴이야기 등 황룡사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많이 기록되어 있다.

신라삼보-장육존상
장육존상

신라삼보중 하나인 장육존상을 현대적으로 재현한 모형이다.

장육존상의 높이는 4.5~5m 정도 된다고 한다.

9층목탑-실제크기-복원-남서쪽9층목탑에서본-전경-영상
9층목탑 실크기 복원

한쪽에는 9층 목탑 실제 크기를 복원해 둔 공간이 있다.

위치는 9층의 남서쪽 모서리 칸 일부를 재현한 것으로 그곳에서 바라본 전경도 영상으로 재현시켜 놓았다.

황룡사-합성-포토-체험존야외테라스-황룡사지
포토 체험존 및 야외테라스

역사문화관에는 포토 체험존이 있어 황룡사를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을 수 있다.

그리고 야외 테라스에서는 황룡사지를 2층 높이에서 볼 수 있다.

황룡사-카페테리아
황룡사 카페테리아

2층에서 내려오면 1층에 황룡사 카페테리아가 있어 기념품과 음료를 마시면서 황룡사지들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황룡사-전경-복원-모습
황룡사 전경

황룡사지에 남아 있는 주춧돌을 기반으로 한 황룡사 전체복원 설계도와 신라 왕경 복원도를 참고하여 신라시대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


후기

황룡사는 불국사와 함께 신라를 대표하는 사찰이다.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는 것이 아쉽지만 9층목탑 모형과 영상으로 나마 황룡사를 볼 수 있던 것은 좋았다. 영상관 시간에 맞춰 영상을 관람하고 황룡사 역사문화관을 둘러본다면 더 좋을 것 같다.


경주 가볼 만한 곳(근처)

 

원효성지 경주 분황사

분황사는 634년에 지어진 사찰(절)이다. 국보 제 30호로 지정 된 분황사 모전석탑과 화쟁국사비 비석대, 석정, 석조 등이 보존되어 있다. 분황사 경북 경주시 분황로 94-11 분황사 매일 09:00 - 18:00 하

haeyastory.tistory.com

 

댓글